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unix
- Linux
- 작성중
- 코스피
- Eclipse
- IPTV
- 안드로이드
- 알고리즘
- 도서
- UX
- LDAP
- conemu
- adb
- java
- IT 키워드
- Algorithm
- 우분투
- 태터수정
- ubuntu
- Qmail
- 보안
- eclipse35
- Audacity
- KOSPI
- uml example
- Android
- 기술사
- 주식
- 공매도
- Today
- Total
목록Hello (45)
Do diffence
실제로 인류는 기원전 부터 암호를 사용해 왔으나 대부분 알고리즘이 노출되면 암호가 풀렸다. 하지만 70년대 block 암호 'DES'의 등장으로 공개열쇠 방식이 실현될 수 있었다.
OTP는 금융 거래시 비밀번호 유출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일회성 비밀번호로 작은 계산기 모양의 OTP 생성 단말기에서 은행이 지정한 번호를 입력하면 OTP가 만들어 진다. 이는 일반 금융거래 고객들이 이용하는 보안코드 표 보다 안전해 법인이나 고액거래자들 대상으로 발급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 은행별로 OTP 단말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단말기를 소지해야 하고, 뛰어난 보안성에도 불구하고 단말기가 고가인 까닭에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확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하이마텍 - 스마트카드 이용한 OTP 특허 스마트카드를 이용 보안성이 뛰어난 OTP원리를 스마트카드 안에서 구현해 별도의 OTP 생성 단말기 없이 OTP를 생성해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정부 내년 7월 ‘제한적 인터넷 실명제’ 실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소속 이상배, 유승희 의원의 대표 발의안과 정부안이 과기정위 대안으로 통합돼 지난주말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함에 따라 향후 법사위 전체회의와 본회의를 거쳐 내년 7월경에는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개정안에는 ▲제한적 인터넷 실명제안 ▲개인정보 수입·이용·제공에 대한 고지 및 동의제도 개선·보완안 ▲개인정보 취급위탁에 따른 관리·감독 강화안 ▲불법정보 유통금지안 ▲정보통신윤리위원회 기능 강화안 등이 포함됐다 ◆ 제한적 인터넷 실명제 ‘본인확인제도’ 시행 = 내년부터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 등 공공기관과 일일평균 일정 기준 이상의 이용자가 방문하는 포털 등 정보통신서비스..
◆ 미국 시각: 06/12월 초 5차 한미FTA 협상에서 미국 측은 IPTV에 대해 '한국정부가 IPTV에 대한 규제권한을 갖고 행사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지 않는다. 케이블TV와 유사한 규제를 하면 되지 않겠냐'고 ◆ OECD, 방송으로 규정 OECD는 IPTV는 서비스 대상자가 '누구나'(worldwide any user)가 아니라 특정 지역(Local)으로 제한되고, 20Mbps 정도의 속도를 보장하는 프리미엄 네트워크를 통해, 셋톱박스 등 제한장치로 서비스된다는 협의의 정의에 손을 들어 준 셈이다. 지난 12~13일 파리에서 개최된 OECD 방송통신 인프라 및 정책회의(CISP)에서도 OECD 사무국은 각국의 의견을 청취한 중간 보고서 발표를 통해 IPTV를 케이블TV와 위성방송 같은 전통적 유료 ..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이란 무엇인가? WAP은 1997년 6월에 Unwired Planet(현 Phone.com)이 주축이 되어 Ericsson, Motorola, Nokia, Unwired Planet 4개사가 공통 규격의 제정을 위해 만든 표준화 단체인 WAP Forum에서 제정한 무선 망과 인터넷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현재 WAP forum에는 전세계 300여개가 넘는 업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LG정보통신, 삼성전자, SK텔레콤 등이 참여하고 있다. WAP 방식은 전세계적으로 사용자 면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공개된 표준이라는 점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이 개발 중이다. 따라서 세계적인 표준으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