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UX
- 알고리즘
- LDAP
- ubuntu
- IT 키워드
- Audacity
- 기술사
- 태터수정
- KOSPI
- 공매도
- Qmail
- adb
- 안드로이드
- Linux
- unix
- java
- eclipse35
- 주식
- Eclipse
- Algorithm
- 보안
- uml example
- 작성중
- 우분투
- 코스피
- Android
- IPTV
- conemu
- 도서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88)
Do diffence
계량정보분석을 위한 프로그래밍 활용사례연구 -PERL을 중심으로- 원동균, 이방래, 정용일, 이준영, 『KISTI 기술혁신 정보분석보고서』 102 면 2005-12 원문 : 계량정보분석을 위해서는 프로그래밍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펄(Perl) 프로그램을 학습하여, 실제연구에 적용한 것으로 이를 정리한 것이다. 펄 프로그램의 특징 및 이용방법과, 펄의 문법을 계량정보분석에 필요한 내용을 위주로 하였으며, 직접 활용한 사례를 가지고, 소스코드를 설명함 사이트 Windows Perl http://www.activestate.com 이명현경영스쿨: http://www.emh.co.kr/tech.pl
▣ 데이터마이닝의 등장배경 ▣ 데이터마이닝의 등장배경 데이터마이닝의 개념은 정보기술의 발달과 비즈니스적 요구에 의해 시장에 등장하게 되었다. 먼저 정보시스템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정보화의 초창기에 EDPS라는 개념이 한때 유행을 하다가 MIS의 개념으로 옮겨지게 되었다. 경영층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고급정보를 가공하고 축적하는데 관심을 가졌던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 Decision Support System)은, 정보화의 개념을 조직의 하부계층의 반복업무를 지원하는 자동화 업무에서 전사적인 개념으로 확장 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런데 이를 구축하기 위하여 선결과제가 발견되었는데 바로 전사인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는 통합 데이타베이스의 구축이었다. 각 부서별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으로는 경영층..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은 DMB 방송망을 이용해 실시간 교통·여행 정보를 서비스하는 기술 표준이다. 방송사 중심의 방송형 텔레매틱스 서비스인 셈. TPEG은 수익성 문제에 고민하고 있는 지상파 DMB 방송의 주요 서비스 중 하나로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TPEG에는 여러 규격들이 포함된다. RTM(Road Traffic Message, 도로의 돌발 상황 정보) CTT(Congestion & Travel Time information, 혼잡 교통 정보) PTI(Public Transport Information, 대중 교통 정보) PKI(Parking Informatio, 주차 정보) WEA(Weather Information, 날씨 정보) 등이다. 서..
관련기사 지상파-케이블-위성, 아파트 안테나 점유경쟁 치열 "방송법 침해하는 MATV망 관련 기술개정은 효력 없다"…케이블TV협회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의 공시청망(MATV망) 사용을 둘러싸고 스카이라이프와 케이블 방송사업자간 뜨거운 논란이 몇 년째 진행되고 있다. MATV(Master Antenna TV system)망이란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공중파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옥상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구내망을 통해 각 세대로 전달하는 공청망을 뜻한다. 이에 대해 방송위원회가 "방송법에서 MATV망의 독점적 권리를 보장하는 규정이 없으며 SMATV(위성 공시청망, Satellite Master Antenna Television)에 대해서는 별도 방송사업자 지위를 인정하고 있지 않다"는 의견을 ..
서론에 정의를 쓰고(쓰고 안쓰고는 중요하지않음), 키워드 중심으로 쓰면서 물어본 질문에 많이 쓰는 것입니다. - 답안의 글이 좋다: 즉, 남들보다 키워드가 무지 많습니다. 특히 김영국 기술사남과 임혜순 과장님은 남들의 배 이상의 키워드가 답안에 있습니다 (답안 및 문제풀이를 참조하면 알 수 있슴,기출풀이와) - 정의를 쓴다: 정의를 섰기 때문에 점수가 좋은 것은 절대 아닙니다. 즉, 정의는 쓰고 안 쓰고는 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논리력: 김송주 대리님의 2교시는 논리력의 마술입니다. 이 분의 답안 구성은 훌륭합니다. 이 분과 더불이 77회 이이진 기술사님 또한 논리력은 훌륭합니다. 하지만 김송주 대리님은 다소 암기의 어려움을 느껴서 키워드가 좀 부족합니다. 그 결과가 1교시 성적이 않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