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매도
- IT 키워드
- Eclipse
- KOSPI
- ubuntu
- 안드로이드
- UX
- 우분투
- Audacity
- adb
- 주식
- Android
- Algorithm
- 기술사
- Qmail
- Linux
- IPTV
- 태터수정
- eclipse35
- 알고리즘
- 도서
- uml example
- 작성중
- conemu
- unix
- 코스피
- java
- 보안
- LDAP
- Today
- Total
Do diffence
Windows에서 Boot2Docker 터미널을 ConEmu로 교체하기 본문
ConEmu를 다운받습니다.
https://github.com/Maximus5/ConEmu/releases
이글은 http://goo.gl/AcWMTb 를 참고했습니다.
ConEmu에 대해서는 다음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ConEmu를 Boot2Docker의 터미널로 사용하기
Boot2Docker를 ConEmu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ConEmu의 설정에 새로운 Task를 추가해야 합니다.
ConEmu의 설정으로 가서 'Tasks' 탭으로 가서 새로운 태스크를 '+'를 눌러 추가하고 'Boot2Docker'로 이름을 줍니다. 그리고 Task Parameters에 다음을 추가합니다. Boot2Docker의 위치입니다.
/dir "c:\Program Files\Boot2Docker for Windows"
그리고 Commands에 다음 내용을 입력해 줍니다.
"-new_console:C:c:\Program Files\Boot2Docker for Windows\boot2docker.ico" -new_console:n -new_console:t:Boot2Docker "-new_console:d:C:\Program Files\Boot2Docker for Windows" "%ProgramFiles(x86)%\Git\bin\sh.exe" --login -i "c:\Program Files\Boot2Docker for Windows\start.sh"
아래 그림 같은 모습일 것입니다. 저장을 하고 나오니다.
[그림 ConEmu에 Boot2Docker 태스크 추가]
이제 바탕화면 같은 곳에서 '바로가기'를 하나 만듭니다.
바로가기의 타겟은 ConEmu 실행 파일입니다. 그리고 실행할 conEmu의 위치를 잘 기억세요.
바로가기 이름을 줍니다.
[그림 바로가기 만들기]
바로가기 아이콘이 만들어 졌으면 속성 창을 열고 대상을 다음 명령으로 수정해 줍니다. ConEmu 실행 파일 위치를 주고 /cmd {boot2docker} 태스크를 실행하도록 합니다.
ConEnu를 Installer로 설치했으면 대상은 다음 같을 것입니다.
"%ProgramFiles(x86)%\ConEmu\ConEmu64.exe" /cmd {boot2docker}
ConEmu를 포터블 압축 파일로 풀었으면 실행위치를 찾아 입력하면 됩니다.
예) "C:\ConEmu\ConEmu64.exe" /cmd {boot2docker}
그리고 아이콘도 Boot2Docker 폴더에 있으므로 변경해 주면 됩니다. 바로가기 속성은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그림 바로가기 링크 설정 ]
새로 만든 Boot2Docker 바로가기를 실행하면 윈도우 cmd가 아닌 ConEmu 가 실행됩니다.
[그림 Boot2Docker를 ConEmu로 띄우기]